리뷰.
블리츠스케일링은 비효율을 감내하고서라도 급격한 성장을 통해 퍼스트-스케일러 우위에 기반한 해자 Moat 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블리츠스케일링은 업종, 규모, 지역과 관계 없이 할 수 있지만 (Part 5) 모든 기업이 블리츠스케일링을 할 수도, 할 필요도 없습니다. 우리 기업 상황에 맞지 않는데 블리츠스케일링을 할 경우 엄청나게 빠른 실패 (blitzfailing) 를 낳을 뿐입니다. (Part 3) 블리츠스케일링이 이치에 맞는 유일한 경우는 시장으로 진입하는 속도가 엄청난 결과를 내는 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할 때 ‘뿐’입니다. (Part 3)
블리츠스케일링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 이노베이션 Business Model Innovation (Part 2), 전략 이노베이션 Strategy Innovation (Part 3), 경영 관리 이노베이션 Management Innovation (Part 4)을 해야합니다.
블리츠스케일링은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기반으로 합니다. 해당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4가지 성장 인자 (시장 규모, 유통, 매출 총이익, 네트워크 효과) 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2가지 성장 제약 인자 (제품 - 시장 궁합 부족, 운영 확장성) 을 이겨내야합니다. (Part 2)
빠른 성장을 위해 비효율을 감내해야 하는 블리츠스케일링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로 합니다. 블리츠스케일링을 언제 시작해야할지, 언제 멈춰야 할지, 성장 단계별로 어떻게 다른 전략을 써야할지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Part 3)
급격한 성장은 경영 관리 Management 에 여러가지 문제를 발생시키기 마련입니다. 그런 문제에 어떻게 대응하냐에 따라 블리츠스케일링의 성패가 갈릴 수 있습니다. 회사와 조직이 성장함에 따라 (물론 블리츠스케일링하는 조직은 문제가 더 ‘빨리’ 뻥뻥 터지겠죠? ) 조직이 어떻게 변화해야하는 지에 대해서 안내합니다. 꼭 블리츠스케일링을 하는 조직이 아니더라도 성장하는 대부분의 조직이 겪게 되는 문제인터라 도움이 많이 됩니다. (Part 4)
전반적으로 편집과 번역이 잘 된 편이지만, 원서의 구성을 따르지 않고 파트별 제목이나 소제목을 좀 멋스럽게 쓴 것이 오히려 책의 구조를 파악하기 힘들게 합니다. 굉장히 논리적인 구조로 구성된 책인터라 원서의 목차 구성을 따랐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두번째 읽으면서 애초에 원서를 함께 봤으면 좀 더 좋았을 것 같아, 원서를 참조하여 원서 기준 목차 제목과 주요 개념 등을 원서의 단어, 문장 등을 참조하여 다시 정리해봤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원서 기준 목차 제목.
- 서문
- Part 1 : Whait is Blitzscaling 블리츠스케일링이란 무엇인가?
- Part 2 : Business Model Innovation 비즈니스 모델 이노베이션
- Part 3 : Strategy Innovation 전략 이노베이션
- Part 4 : Management Innovation 경영 관리 이노베이션
- Part 5 : The Broader Landscape of Blitzscaling 블리츠스케일링, 더 넓게 조망하기
- Part 6 : Responsible Blitzscaling 사회적 책임감을 갖는 블리츠스케일링